
개발을 하던 도중 DTO와 VO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졌다. 🤔 우선 DTO란?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하는 객체이다. 로직 없이 순수하게 데이터만 전달하는 것으로써 getter/setter 메서드가 이에 해당한다. 🤔 VO란? Value Object의 약자로 특정 값 자체를 표현하므로 불변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성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VO는 값자체를 나타내므로 setter 같은 새로 값을 지정하는 메서드가 존재해선 안된다! (왜냐? 불변성을 보장해야하기 때문) 좀 더 쉬운 말로 DTO는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한다. 값을 가져오고 (get) 전달해 지정한다.(set) 그럼 VO는 특정 값 자체를 표현한다. ✔ VO와 DTO의 차이점? ..
프로그래밍/자바
2022. 4. 6. 18: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자바의 정석
- 그리디
- 22 정보처리 산업기사
- 해커랭크
- 정보처리산업기사
- BAEKJOON
- hackerrank
- 강의
- 나동빈
- stack
- 해커랭크 자바
- 정보처리 산업기사
- 22 정보처리산업기사
- hackerrank challenges
- ORM
- 해커랭크 챌린지
- JPA
- 소스코드
- 자바
- queue
- 해커랭크 자바 챌린지
- 이코테
- challenges
- 코드
- 챌린지
- LinkedList
- 디버깅
- 정보처리산업기사 공부법
- Java
- 백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