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프 조인이란 무엇인가?먼저 개념부터 정리해보자.셀프 조인(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자기 자신과 조인하는 것을 말한다.즉, 같은 테이블을 두 번 불러와서 서로 연결하는 거다.조인이라고 하면 원래는 두 개의 다른 테이블을 엮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가끔은 같은 테이블 안에서 서로 연결해야 할 때가 있다.그럴 때 셀프 조인을 쓰는 거다. 셀프 조인이 필요한 상황셀프 조인은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거나, 같은 테이블 내의 값들을 비교할 때 주로 쓰인다. 예시를 들어보자. 1. 상사-직원 관계 (계층 구조)가장 대표적인 예가 상사-직원 관계다.아래처럼 EMPLOYEE라는 테이블이 있다고 해보자. EMP_IDEMP_NAMEMANAGER_ID1홍길동NULL2이몽룡13성춘향14김철수2 MANAGER_ID는..

오늘은 springBoot와 github를 연동한 후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 github에 올리기 불필요한 파일들을 관리해보자. .👇👇 그전에 springboot 프로젝트와 github의 연동이 궁금하다면 다음을 참고하자. (링크)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인텔리제이(IntelliJ)와 깃허브(GitHub) 연동하기 오늘은 인텔리제이(IntelliJ)와 깃허브(GitHub)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1. 먼저 깃허브(Gtihub)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한다. 링크 :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 dandev.tistory.com 그럼 바로 들어가보자. 1. 우선 intelliJ(IDE..

오늘은 h2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우선 h2 데이터베이스의 다운로드 위치로 이동한다. 2. h2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고 나면 화면 하단 시작표시줄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생성된다. 3.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해 'create a new database'를 클릭한다. 4. database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버튼을 누른다. create 버튼 클릭 후 'database was created successfully.'라는 말이 나오면 성공한 것이다. 👉 그럼 이제 h2 데이터베이스 생성은 끝났고 데이터베이스에 연결을 진행해보자. 1. h2 데이터베이스 실행 후 url과 비밀번호를 입력 하고 '연결 시험' 버튼을 클릭해보자. 2. 다음과 같이 '시험 성공'이라는 말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고리즘
- 해커랭크 챌린지
- 소스코드
- 자바의 정석
- 이코테
- hackerrank challenges
- 강의
- Java
- hackerrank
- 해커랭크 자바 챌린지
- 챌린지
- 정보처리 산업기사
- 코틀린
- 풀이
- 정보처리산업기사
- Kotlin
- Spring Security
- 해커랭크 자바
- 22 정보처리 산업기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공부법
- challenges
- ORM
- 디버깅
- 22 정보처리산업기사
- 자바
- 코드
- 백준
- 해커랭크
- 그리디
- JP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