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 또는 서비스가 보내는 트래픽의 처리율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율 제한 장치(rate limiter)가 필요한데, 처리율 제한 장치와 처리율 제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1. 토큰 버킷 알고리즘 (token bucket)지정된 용량을 갖는 컨테이너이 버킷에는 사전 설정된 양의 토큰이 주기적으로 채워짐. 토큰이 꽉 찬 버킷에는 더 이상의 토큰은 추가되지 않는데, 토큰 공급기가 이 버킷에 매초 2개의 토큰을 추가하고, 버킷이 가득 차면 추가로 공급된 토큰은 버려지는 구조각 요청이 처리될 때마다 하나의 토큰을 사용하고 요청이 도착하면 버킷에 충분한 토큰이 있는지 검사하고, 충분한 토큰이 있는 경우 버킷에서 토큰 하나를 꺼낸 후 요청을 시스템에 전달한다. 충분한 토큰이 없는 경우,..
카테고리 없음
2025. 6. 3. 20:3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hallenges
- hackerrank challenges
- 이코테
- 디버깅
- 챌린지
- 백준
- 해커랭크 자바 챌린지
- 해커랭크
- 소스코드
- Java
- 자바
- 해커랭크 챌린지
- 나동빈
- 정보처리 산업기사
- 풀이
- 정보처리산업기사 공부법
- 정보처리산업기사
- 코드
- 22 정보처리산업기사
- BAEKJOON
- 자바의 정석
- 그리디
- 코틀린
- JPA
- Spring Security
- hackerrank
- 해커랭크 자바
- 강의
- ORM
- 22 정보처리 산업기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