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공부하며 SW 관련 신기술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SW 관련 신기술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응용분야 : 패턴 인식, 전문가 시스템, 로봇 공학 뉴럴링크(Neuralink) 테슬라(Tesla)의 CEO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 ‘신경 레이스(Neural Lace)’ - 작은 전극을 뇌에 이식함으로써 생각 업로드, 다운로드하는 것 목표 딥 러닝(Deep learning)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ANN, Artific..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공부하며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018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정보 통신 기술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해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 M2M(Machine to Machine, 사물 통신)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과 기계 사이의 통신 ex) 변압기 원격 감시, 무선 보안단말기, 무선 신용카드 조회기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휴대용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공부하며 서버 개발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서버 개발 서버 개발 웹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구현할 서버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탑재하는 것 Java, JavaScript, Python, PHP, Ruby 등의 언어 존재 프레임워크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등을 모아둔 집합체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 요청 및 응답 처리, 아키텍쳐 모델 구현 등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 기반으로 개발 종류 Spring Java 기반 프레임워크,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기반 기..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개발 지원 도구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개발 지원 도구 통합 개발 환경(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개발에 필요한 환경, 즉 편집기, 컴파일러, 디버거 등의 다양한 툴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환경 빌드 도구 소스 코드 파일들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품 소프트웨어, 변환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 대표적인 빌드 도구 Ant(Another Neat Tool)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자바 공식 빌드 도구 Maven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의존성 설정하여 라이브러리 관리 Gradle : 한스 도커가 개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공식..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개발 환경 구축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개발 환경 구축 개발 프로젝트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 구축하는 것 하드웨어 환경 클라이언트 : PC, 스마트폰 서버 웹 서버(Web Server) : 저용량 정적 파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 동적 서비스 제공,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또는 웹 서버와 파일 서버 사이 인터페이스 역할 수행 데이터베이스 서버(DB Server) :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관리하는 DBMS 운영 파일 서버(File Server) : 서버 제공 목적으로 유지하는 파일 저장 소프트웨어 환경 클라이언트와 서버 운영을 위한 시스..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경로 제어(Routing) 송 수신 측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경로 제어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이라고 불림.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 사용 최대 홉(Hop) 수 15,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RIp 사용 x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스위치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스위치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L2 스위치 OSI 2계층에서 사용 MAC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동일 네트워크 간 연결만 가능 🤔 MAC 주소란? 네트워크 어댑터(NC)의 고유 번호 L3 스위치 OSI 3계층에서 사용 L2 스위치에 라우터 기능이 추가된 것,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 전송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 가능 L4 스위치 OSI 4계층 로드밸런서가 달린 L3 스위치 IP 주소 및 TCP/UDP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요구를 서버의 부하가 적은 곳에 배분하는 로드밸런싱 기능 제공 L7 스위치 OSI 7계층..

어디서 들은 잡지식(?)으로 여의도에 '핀테크' 회사가 많다고 들은 적이 있다. (대충 이름보고 금융 관련 회사겠거니,, 생각했지만) 이제 슬슬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의 입장으로 문득 핀테크 회사가 정확히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았다. 🤔 핀테크(fintech)회사란? 나무위키에 따르면 finance(금융) +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로 금융 서비스를 모바일 인터넷 환경으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금융 서비스를 모바일 인터넷 환경으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모바일 결제, 모바일 송금, 온라인 개인 자산 관리, 크라우드 펀딩 등이 해당한다! 핀테크의 종류에는 대출, 주식, 송금, 자산관리 등이 있다 간편결제 서비스, 단순결제 서비스 및 모바일 자산관리 서비스, 모바일 은행 모두 핀테크에 해당한다!! ✔..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TCP/IP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TCP/IP 프로토콜(Protocol) 서로 다른 기기들 간 데이터 교환 원활히 하기 위한 통신 규약 기본 요소 구문(Syntax)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규정 의미(Semantics) 두 기기 간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규정 시간(Timing) 두 기기 간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규정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TCP(Transmission Co..

정보처리 산업기사를 준비하며 네트워크 관련 장비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정보처리산업기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도움될 내용이니 참고하자. 네트워크 관련 장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 변경 이더넷 카드(LAN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함. 허브(Hub)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 각각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 포함함. 종류 더미 허브(Dummy Hub) :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 제공 스위칭 허브(Switching Hu..

이전 포스팅에서 필자가 [정보처리산업기사] 22년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공부 계획 공유2 😊 우선 필자는 4/5일부로 책을 배송받았고, 4/6일부터 구체적인 공부 계획을 세웠다. 필자는 5월 7일 시험이다. 시험일까지 31일 남았다. 필자는 '시나공'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문제집을 활용해 공 dandev.tistory.com 정보처리 산업기사 실기 공부 과정을 주단위로 보고하겠다고 했다. 오늘 첫주 보고를 진행하겠다!! 우선 필자는 이전의 실기 공부법 소개 포스팅에서 설명한 유튜브 '유수 알고리즘' 강의를 9강까지 들었다. ('포스팅' 글자 클릭 시 링크로 이동) 교재의 경우 이틀에 한 단원을 끝내기로 목표했지만 chapter 1의 양이 꽤 많고 (chapter 2,3의 내용은 너무 적다.) 그래서 페이..

필자는 컴공 재학생으로 요즘 학교에서 앱개발을 공부중인데 본 전공인 '웹 개발'보다 '앱 개발'에 흥미를 느껴 이것저것 검색하다 Native App이 Hibrid App(웹앱) 보다 1/5에 해당하는 개발비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참고한 사이트는 요기,,) 그래서 문득 그 둘의 차이가 궁금해졌는데,,,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두 개를 비교해보자! 🤔네이티브 앱(Native App)이란? 네이티브 앱은 각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SDK로 만드는 방법이다. 각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개발이 가능하여 기능이 많고 속도가 빠르다. 앱의 성능, 실행될 장치의 하드웨어 방면 기능이 많이 쓰이는 경우에 주로 사용됨. 성능이 좋고, 네이티브 APi를 호출하여 사용함으로 플랫폼과 밀착되어 있음. 단점으로는 플랫폼이 제..

우선 필자는 4/5일부로 책을 배송받았고, 4/6일부터 구체적인 공부 계획을 세웠다. 필자는 5월 7일 시험이다. 시험일까지 31일 남았다. 필자는 '시나공'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문제집을 활용해 공부하고 이 문제집을 2회독 할 계획이다. 우선 2주만에 '시나공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문제집 1회독을 하고, 문제를 풀며 헷갈리거나 중요한 개념은 따로 요점정리를 만들 계획이다. 그리고 2회독은 일주일만에 정리한 요점본을 보며 일주일만에 끝낼 예정이고, 남은 1주일은 시나공에서 제공하는 '기억상자' 어플 및 예상문제 그리고 개념 정리한 요점본을 보고 최종 마무리를 할 계획이다. 필자는 전공자로서 필기 시험을 칠 때만 해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공부하진 않았는데 실기의 경우 애매하게 공부하기보단 정확하게 하나의..

개발을 하던 도중 DTO와 VO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졌다. 🤔 우선 DTO란?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 순수하게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하는 객체이다. 로직 없이 순수하게 데이터만 전달하는 것으로써 getter/setter 메서드가 이에 해당한다. 🤔 VO란? Value Object의 약자로 특정 값 자체를 표현하므로 불변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성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VO는 값자체를 나타내므로 setter 같은 새로 값을 지정하는 메서드가 존재해선 안된다! (왜냐? 불변성을 보장해야하기 때문) 좀 더 쉬운 말로 DTO는 데이터를 담아 계층 간으로 전달한다. 값을 가져오고 (get) 전달해 지정한다.(set) 그럼 VO는 특정 값 자체를 표현한다. ✔ VO와 DTO의 차이점? ..

레포지토리란? 버전별 프로젝트의 모습과 버전별 변경 사항에 대한 설명이 적힌 공간! Git을 사용하게 되면 .git 디렉토리가 생기는데 이 디렉토리가 레포지토리이다! 커밋이란,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특정 모습을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행위 & 결과물 레포지토리란, 커밋이 저장되는 곳! 깃 생성시 접할 수 잇는 에러 untracked는 깃에 아직 추적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인데, git에게 어떤 파일을 버전 관리할 것인지 알려줘야 git이 추적할 수 있는데 알려주지 않았다는 의미임. ==> add 해주기!! add란? 커밋할 파일을 지정해주는 작업 수정된 파이르이 모습이 커밋에 포함될 것이라고 지정하는 것! 커밋된 걸 확인할 수 있다. 🤔 Git 작동 방식 Git은 내부적으로 크게 3가지 종류의 작업 영역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풀이
- 이코테
- challenges
- 코드
- ORM
- 강의
- 코틀린
- 정보처리 산업기사
- JPA
- 정보처리산업기사 공부법
- 소스코드
- 해커랭크 자바
- 해커랭크 챌린지
- hackerrank
- 정보처리산업기사
- 해커랭크
- hackerrank challenges
- 자바
- Java
- 챌린지
- 디버깅
- 그리디
- 22 정보처리산업기사
- 나동빈
- 백준
- 해커랭크 자바 챌린지
- 22 정보처리 산업기사
- Spring Security
- BAEKJOON
- 자바의 정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